반응형

배아줄기세포 유래 도파민 세포 연구 성과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가능성
이글은 퍼블렉시티.ai에서 가져온 글 임을 미리 알려드립니다
2024년 11 월 15일 새벽에
저는 아직 줄기세포치료에 관해 어떠한 치료도 받지는 않았으나 dbs수술은 이미 받아 약을 하루 4번 복용하고 있습니다,
대학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있는데 이번 연말중으로 한번 또 가야하는데 경제적으로 많이 힘들어 이걸 어찌해야하나 하고 있습니다.예전보다 조금 덜 힘든건 맞는데 그래도 걸음때문에 힘이 드는건 어쩔수 없네여
걸음못걷는건 약효가 없을때 그렇기 때문에 여간 힘든게 아니네여 약발이 도는시간이 빨리 오고 오래 유지되야 좋을텐데
카피약이라 그런가 내가 블로그를 써서 그런가 신경을 좀 쓰면 좀더 약발이 오래 못가는거 같은생각이 듭니다
빨리 좀더 저렴한 치료와 더불어 더 좋은날이 왔으면 좋겠습니다.
1. 서론: 파킨슨병의 현황과 연구의 필요성
파킨슨병은 전 세계적으로 약 1천만 명 이상이 앓고 있는 신경퇴행성 질환으로, 주로 60세 이상의 노인에게 발생합니다. 이 질환은 도파민 신경세포의 사멸로 인해 운동 기능 저하, 떨림, 경직 등의 증상을 유발합니다. 현재의 치료법은 주로 증상을 완화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근본적인 치료법은 부족한 상황입니다. 따라서, 새로운 치료법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습니다.
2. 연구 목표 및 방법론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김동욱 교수 연구팀은 배아줄기세포를 활용하여 파킨슨병의 근본적인 치료 가능성을 탐구하고자 하였습니다. 연구의 주요 목표는 고수율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대량으로 생산하고, 이식 후의 안전성과 유효성을 평가하는 것입니다.
연구 방법:
세포 배양: 임상용 배아줄기세포를 3차원 분화법을 통해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로 분화시켰습니다.
동물 모델: 파킨슨병 동물 모델에 이식하여 생착률과 도파민 생성 능력을 평가했습니다.
데이터 분석: 이식 후 3개월 간의 생리학적 변화와 행동 평가를 통해 유효성을 분석했습니다.
3. 주요 연구 성과
고수율 도파민 신경전구세포 생산법 개발
연구팀은 한 번의 분화로 약 3.18조 개의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생산할 수 있는 방법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약 25만 명의 파킨슨병 환자를 치료할 수 있는 양입니다.
안전성과 유효성 확인
이식된 세포는 3개월 후에도 생착되어 도파민을 생성하는 능력을 유지했습니다. 이 결과는 도파민 신경세포의 기능 회복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비교 연구
기존의 도파민 세포 이식 연구와 비교했을 때, 본 연구의 세포 생산 효율과 생착률이 유의미하게 높았습니다.
권위 있는 학술지에 게재
연구 결과는 Cell Stem Cell에 게재되어 국제적으로 인정받았습니다.
4. 임상 시험 진행 상황
김동욱 교수 연구팀은 비임상 시험 결과를 바탕으로 식품의약품안전처로부터 파킨슨병 환자를 대상으로 한 1/2a 임상 시험 승인을 받았습니다.
임상 시험명: 인간배아줄기세포 유래 중뇌 도파민 신경전구세포를 이용한 파킨슨병 치료제 (A9-DPC)
대상: 파킨슨병 진단 후 5년 이상 경과한 환자
목적: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도파민 신경전구세포 이식 요법의 안전성 및 탐색적 유효성 평가
실시 기관: 연세대학교 의과대학 세브란스병원
개시 예정: 2024년 상반기
5. 환자 사례 및 전문가 의견
연구팀은 초기 임상 시험에 참여할 환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이식 후 증상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을 확인했습니다. 또한, 신경과 전문의들은 이 연구가 파킨슨병 치료에 있어 획기적인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평가하고 있습니다.
6. 결론 및 미래 연구 방향
이번 연구는 파킨슨병 치료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되며, 향후 연구에서는 장기적인 안전성과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추가적인 임상 시험이 필요합니다. 또한, 줄기세포 치료의 상용화를 위한 규제 및 윤리적 문제 해결이 중요합니다.
김동욱 교수는 "안전하고 효능이 뛰어난 혁신적이고 근본적인 치료제를 개발해 환자들의 삶을 개선하는 데 기여하고 싶다"고 연구의 의의를 밝혔습니다.
이 연구는 과학과 의학의 경계를 허물며, 인류의 건강과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기여할 것입니다. 앞으로의 연구 결과와 임상 시험이 어떻게 진행될지 많은 이들이 주목하고 있습니다.
반응형
'파킨슨병' 카테고리의 다른 글
파병 과 이치료 견적내러 두번째 병원에 다녀와서 알아보기 (6) | 2024.12.11 |
---|---|
당뇨망막증 에 치료법에 대해알아보기 (0) | 2024.12.04 |
오래간만에 유튜브에 올라온 파킨슨병 한의원 동영상up (8) | 2024.11.09 |
파킨슨병 장기요양보험 신청자격 및 준비 사항들 알아보기 (0) | 2024.11.06 |
파킨슨병 연하장애 관련 글 알아보기 (1) | 2024.1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