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게리맨더링 (Gerrymandering): 선거구를 특정 정당이나 후보에게 유리하게 조정하는 행위.
- 플루토크라시 (Plutocracy): 부유한 계층이 정치적 권력을 장악하는 체제.
- 오크라시 (Ochlocracy): 군중이나 시민에 의해 지배되는 정치 체제.
- 클라이언텔리즘 (Clientelism): 정치적 배신과 대가로 개인이나 집단에게 혜택을 제공하는 시스템.
- 코포라티즘 (Corporatism): 정부와 소속기업, 노동조합 등이 협력하여 정책을 결정하는 체제.
- 테크노크라시 (Technocracy): 비 전문가들이 정치적 결정을 내리는 체제.
- 파퓰리즘 (Populism): 대중의 요구와 감정을 강조하며 정치적 지지를 얻으려는 전략.
- 헤게모니 (Hegemony): 다른 국가나 집단을 지배하거나 영향력을 행사하는 상태.
- 메리토크라시 (Meritocracy): 능력과 자부심에 따라 지위와 권력을 부여하는 체제.
- 수브라네티 (Sovereignty): 도시가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통치할 수 있는 권리.
==========
생소할 수 있는 경제 용어 20개를 소개합니다:
- 기회비용 (Opportunity Cost)
- 어떤 선택을 했을 때, 포기한 다른 선택지의 가치. 예를 들어, 1시간을 일하면 1만 원을 벌 수 있는데, 그 시간을 쉬기로 했다면 1만 원이 기회비용이 됨.
- 제로 금리 (Zero Interest Rate)
-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 수준으로 유지하는 정책. 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채권 시장 금리를 낮추는 효과가 있음.
- 스태브플레이션 (Stagflation)
- 경제 성장이 둔화되면서 동시에 물가가 상승하는 현상. 보통 경기 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할 때 사용됨.
- 양적완화 (Quantitative Easing, QE
- 중앙은행이 경제 활성화를 위해 국채 등의 금융자산을 대량 매입해 유동성을 공급하는 정책.
- 리세 (Recessn)
- 경제 활동이 둔화되어 경제 성장률이 마이너스가 되는 상태, 즉 경기 후퇴를 의미함.
- 디플레이션 (Deflation)
- 물가가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현상. 이는 경제활동을 위축시키고, 장기적인 경기 침체로 이어질 수 있음.
- 리마 (mma)
- 세 가지 경제 목표를 동시에 달성할 수 없는 함. 예를 들어, 자본 자유화, 환율 안정, 독립적인 통화 정책 중 두 가지만 선택 가능하다는 이론.
- 탄소세 (Carbon Tax)
- 탄소 배출량에 따라 부과되는 세금. 기후 변화 대응을 위한 환경정책의 일환으로 사용됨.
- 고정 환율제 (Fixed Exchange Rate)
- 자국 통화의 가치를 특정 외국 통화에 고정시키는 제도. 환율이 변동하지 않도록 중앙은행이 개입함.
- 자본 이득세 (Capital Gains Tax)
- 자산을 팔 때 발생하는 이익에 부과되는 세금. 예를 들어, 부동산이나 주식을 사고팔아 이익을 얻을 때 부과됨.
- 통화스와프 (Currency Swap)
- 두 나라가 서로의 통화를 교환하는 계약. 외환위기 등에서 외환 보유액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줌.
- 불황형 흑자 (Recessionary Surplus)
- 경제 불황임에도 불구하고 무역에서 흑자가 발생하는 상황. 소비가 감소해 수입이 줄어 흑자가 나는 경우가 많음.
- 리보금리 (LIBOR, London Interbank Offered Rate)
- 런던 은행 간에 단기 자금을 거래할 때 적용되는 금리. 국제 금융 시장에서 기준 금리로 많이 사용됨.
- 공급 충격 (Supply Shock)
- 원자재 가격 폭등이나 자연재해 등으로 인해 상품 공급에 큰 변화가 생기는 현상. 이는 물가에 영향을 미침.
- 슈퍼사이클 (Supercycle)
- 원자재 시장에서 수년 또는 수십 년 동안 상승 또는 하락하는 장기적인 가격 변동 추세를 뜻함.
- 헤지펀드 (Hedge Fund)
- 고수익을 목표로 다양한 투자 기법을 사용하는 사모펀드. 주식, 채권, 파생상품 등 다양한 자산에 투자함.
- 공매도 (Short Selling)
- 주가 하락을 예상하고 주식을 빌려서 파는 투자 방법. 나중에 주가가 하락하면 저가에 다시 사들여 차익을 얻음.
- 디레버리징 (Deleveraging)
- 부채를 줄이는 과정을 뜻함. 금융기관이나 기업이 빚을 갚거나 자산을 매각해 부채 비율을 낮추는 것.
- 리스크 프리미엄 (Risk Premium)
- 투자자가 위험을 감수하는 대가로 요구하는 추가 수익률. 위험이 클수록 더 높은 프리미엄이 요구됨.
- 인플레이션 타겟팅 (Inflation Targeting)
- 중앙은행이 일정 수준의 인플레이션 목표를 설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통화 정책을 운용하는 방식.
이러한 용어들은 경제 뉴스나 논문, 보고서 등에서 자주 사용되며, 이를 이해하면 경제 전반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질 수 있어요.
반응형
'파킨슨병 > 다이어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승의 날' 1000원짜리 초콜릿 받은 유치원 원장 해고, 법원 판단은?알아보기 (0) | 2024.09.09 |
---|---|
인공지능과 벡터의 관계"알아보기 (4) | 2024.09.09 |
인공지능으로 블로그 콘텐츠 쉽게 만들기: 실전 가이드"알아보기 (2) | 2024.09.09 |
가려움증? 집에서 간단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들!"알아보기 (2) | 2024.09.08 |
필리버스터가 뭐야? 정의와 역사"알아보기 (4) | 2024.09.08 |